본교에서 연구부장, 혁신부장 업무를 하면서 2016년~17년에 페이스북에 게시했던 글입니다. 21페이지 정도의 학교교육과정 외에 별도의 문서화된 학년, 학급 교육과정은 만들지 않았습니다. 실제적인 학교교육과정을 고민하시는 분께 작은 도움이라도 드릴 수 있을까 해서 블로그에도 남겨 봅니다. ------------------------------------- ★ 얇고 친근한 학교교육과정 (21페이지) 한번 짜고 다시는 안보는 '캐비닛 교육과정'이 아니라, 자주 보고, 메모하고 다함께 만들어가는 학교교육과정. 나름 고민한 결과물로, 선생님 수 만큼 제본을 해서 우리 학교 전체 선생님들과 '다함께 세우기' 모임 때 나누었습니다. ^^ ※ 우리 학교교육과정 전체 내용 ↓ : 사진 이미지마다 설명을 적어보았습니다...
아래 글은 2016년 연구부장 시절에 페이스북에 썼던 글입니다. 기록용으로 블로그에도 남겨 봅니다. ------------------------------------------------------------- 1. 교육과정 재구성 교육과정 재구성을 학년교육과정에 어떻게 하면 실제적으로 담을 수 있을까 고민을 하였습니다. 어느 혁신학교의 문서적으로도 완벽하고 실제적인 운영의 흔적도 엿보이는 교육과정에 감탄했지만, 이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수 중심의 나이스 입력으로 인해, 이지에듀와 같은 사설업체의 교육과정 작성에 익숙해진 터라, 교육과정 재구성을 ‘문서화’하는 작업이 선생님들에게 또 다른 행정업무로 다가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성식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또 ..
우리 부장님이 새학년도에 동학년이 안되면... 참 걱정입니다. 새로운 캐릭터 만들기가 힘들어서 ^^;;